걸어서 저 굴뚝까지 :: 2019/01/09 10:311월 11일 아침 파인텍 노사 간의 협상 타결과 고공농성 해제에 따라 은평구민대행진은 취소하였습니다. 좀 더 일찍 마음 모아드렸어야 했는데 죄송합니다. 며칠 전 굴뚝 위의 두 농성자가 곡기를 끊고 아래로 향하는 줄을 스스로 거두었다는 소식을 듣고 어찌할 줄을 몰랐습니다. 저녁에 굴뚝 아래 농성장에서 천주교 미사가 있다는 말을 듣고 신자가 아님에도 찾아가 보았습니다. 한 시간 가량 계속되는 미사에 발이 꽁꽁 얼어 또 어찌할 줄을 몰랐습니다. 그 와중에도 수녀님들이 읊조리는 기도는 낮고도 강직했습니다. 기도문들을 들으며 순간 부끄러웠습니다. 뭔가 해야 하는데 제 마음에 부채감만 쌓아가며 안절부절 못하는 나는 내 자신이 너무나 부끄러웠습니다. 카메라를 들고 다니며 감독이랍시며 작가랍시며 관찰자로 남아야지 짐짓 진지한 척 떨었던 내 허세와 변명이 몹시도 부끄러웠습니다. - 김세권 스타플렉스 대표이사의 3승계(고용, 노동조합, 단체협약) 이행 1년여 전 그 시작부터 지상 75m의 고공농성에 붙어있던 플래카드의 내용입니다. 단사의 요구사항으로만 휘날리던 타 고공농성장들의 그것과는 뭔가 달랐습니다. 한번쯤은 상상해보며 울컥거렸던 나의 외침이 그 안에 있었습니다. 헬조선 악의 축 해체, 다들 바라지 않았던가요? 저들이 감히 나의 마음을 대변하고 나섰을 때 나는 감히 벗들에게 무엇을 대신해주었나 되돌아봅니다. 사실 오늘 하루 몹시도 부끄러웠습니다. 힘 있는 자들 마음대로 부시고 땅을 뒤엎고 법을 제멋대로 휘갈겨 고치는 와중에, 청계천에서 제주에서 맨몸으로 바닥을 구르며 저항하는 벗들을 보며 몹시도 부끄러웠습니다. 한번쯤 잠자리에서 상상해보았던 그것 한번 현실에 꾸며볼까 합니다. 왁자지껄 동네 이웃들과 벗들과 새벽녘의 꿈결처럼 함께 행진해갔으면 합니다. 굴뚝 위의 두 노동자와 그 아래의 세 노동자의 외침이 내 동네의 사정과 무관하지 않다고 세상에 드러내어 함께 외쳤으면 합니다. 오는 일요일 1월 13일 오후 3시 - 은평구 구민 서울영상집단 일동 * 혹 당일 다른 일정은 없는지 실례는 되지 않을지 밤늦게 파인텍지회에 의사를 전달한 상선 아저씨의 말에 의하면 30일 넘게 단식 중인 차광호 지회장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답이 왔다고 합니다.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했으면 합니다. 힘차게 조직해 주십시요." 급하게 일 꾸며 죄송합니다. 하지만 함께 조직해 주세요. 여러분의 벗들도 최대한 조직해 함께 해주세요. 웹자보 또한, 여러분의 생각 여러분의 글과 함께 많이들 공유해주세요.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걸어서 저 굴뚝까지, 은평구민 대행진]을 제안합니다. 사람이 420여일을 75미터 높이 굴뚝 위에서 작열하는 태양과 눈바람 속에 겨겨우 견디어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그것, 수많은 시민사회 종교계 문화예술인들이 항의하고 수십 일을 동조단식 해도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그것, 사람들이 죽을 고비에 놓여도 노동조합이 제 맘에 들지 않는다며 눈 하나 깜짝하지 않는 그것, 사장님이라는 그것이 되려 고개 뻣뻣이 들고 내려다보는 이 사회를 어떻게 인정해야 할까요? 그것들이 노동자를 대하고 사회를 대하고 이 사회 구성원 한 명 한 명을 대하는 태도, 그 비아냥과 조롱의 대상이 다름 아닌 바로 나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420여일 전 충남에 위치한 공장의 구미 출신 노동자 5명이, 둘은 위로 오르고 셋은 땅에 남아 바라지 하며, 고공농성을 시작했을 때 그 굴뚝에 내걸려 펄럭이던 뻣뻣한 플래카드의 문구는 뜻밖의 생경함이었으며 뜻밖의 경고였습니다. 파인텍지회의 요구사항 그들의 요구는, 촛불을 통한 정권교체 이후 안심하고 있던 우리들에게 던지는 경고였습니다. 기울어진 시스템에 맞서 우리는 이렇게 싸울테니 당신들도 계속해서 싸워달라는 부탁이고 독려였습니다. 정권 교체 이후 조금씩 친재벌 우경화 하는 정책들을 보며 이제라도 우리는 다시금 싸움의 전의를 높여가야 하지 않을까요? 저희는 단지 그들을 동정하지 않을 것이며 단지 위로하지 않을 것이며 단지 응원하고만 있지 않을 것입니다. 그들이 극한의 상황에서 버티며 이끌고 있는 싸움에 이제라도 동참하고자 합니다. 저희 나름의 싸움을 시작하고자 합니다. 강 건너 그들의 싸움이 우리 지역의 싸움과 맞닿아 있음을 알리고자 합니다. 은평이라는 이 작은 지역에서도 사장님들의 조롱과 모욕에 크게 분노하고 있음을 알리고자 합니다. 우리들 또한 이 기울어진 시스템에 맞서 싸우겠다는 지역의 의지를 천명하고자 합니다. 이에 우리는 은평을 나서 서대문 마포 영등포 양천 총 다섯 개 구를 거쳐 굴뚝으로 사람들에게로 행진해가고자 합니다. 우리는 가만히 있지 않을 것입니다. * 1월 13일 일요일 오후 3시, 응암역 4번출구 불광천 초입 집결 * 준비물 : 각자의 말을 담은 손피켓 혹은 몸자보, 그리고 요란스레 소리 낼 무언가 * 행진코스 : 도보 약 2시간 소요 * 당일 100명이 모이든 10명이 모이든 우리는 행진해나갈 겁니다. Trackback Address :: http://www.lookdocu.com/trackback/599
|
||
용산참사 10주기 도시영화제 :: 2019/01/07 22:33[용산참사 10주기 도시영화제]에서 김청승이 2011년에 만들었던 장편다큐 <마이 스윗 홈 - 국가는 폭력이다> 상영합니다. 1월 11일 금요일 저녁 7시 40분, 인디스페이스 영화제는 1월 11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됩니다. 극장인 인디스페이스 외 청계천 을지로, 노량진 수산시장, 경의선공유지 등 개발로 인해 상처받고 있는 투쟁현장들에서도 영화들이 상영됩니다. 자세한 상영작 정보 및 일정은 포스터 아래 공유한 도시영화제의 안내글 참고해주세요. 다들 아시다시피 <마이 스윗 홈 - 국가는 폭력이다>는 유투브를 통해서 보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영화제 수익금이 궁중족발 투쟁기금으로 전액 전달된다고 하니, 이왕이면 돈 내고 예매하도록 하세요. 용산참사 10주기 도시영화제 도시영화제는 보이지 않는 존재들을 드러내고, 가장자리에 있는 이웃들과 함께 하는 영화제로써 2011년 강제퇴거 위기의 홍대 두리반 식당에서 처음 시작하였습니다. 2011년 이후 매해 도시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 현장에서 함께하여 회현아파트, 순화동, 옥바라지 골목, 궁중족발 등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올해는 특히 용산참사 10주기을 맞아 리슨투더시티, 인디스페이스, 연분홍치마가 함께 기획하여 도시라는 공통의 공간에서 살아가야 할 우리의 권리에 대하여 함께 고민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용산 참사 10주기 미디어활동가 포럼 ‹용산 참사 그리고 카메라 : 재난을 기록하다›도 함께 개최 합니다. 일시 : 2019.1.11(금) ~ 1.27(일) 예매 : 입장료: 1) 인디스페이스 상영작 6,000원 주최 : 용산참사 10주기 범국민 추모위원회 * 예매 당일 자정까지 예매확인 및 안내메일을 보내드립니다.. [상영 일정] * 인디스페이스 (서울 종로구 관수동 59-7) 1월 11일 (금) 18:00 ‹23X371 - 용산 남일당 이야기› 1월 12일 (토) 14:00 ‹용산 337가지로 표현하기 : 촛불방송국 레아› 1월 13일 (일) 17:00 ‹두 개의 문› * 신도시 (서울 중구 수표동 11-2, 5층) * 한국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이제홀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2가 35, 지하 1층) * (구) 노량진 수산시장 (서울 동작구 노량진동 13-8) * 경의선 공유지 기린캐슬 (서울 마포구 염리동 169-12) *두리반 (서울 마포구 서교동 370-5) [관객과의 대화 및 포럼] [상영작 정보] ‹23X371 - 용산 남일당 이야기 The Story of Namildang in Yongsan› <마이스윗홈 - 국가는 폭력이다 my sweet home - the nation is violence> <용산 337가지로 표현하기 : 촛불방송국 레아 Yongsan, Expression in 337 Way : rhea> <떠나지 못하는 사람들 : 끝나지 않은 이야기 Those Who Can’t Leave> <두 개의 문 Two Doors> <공동정범 The Remnants> ‹도시목격자 › ‹청계천 DDP 젠트리피케이션 Cheong-gye Cheon, DDP Gentrification› ‹청계천 cheongyecheon› ‹끝나지 않은 편지› ‹내 친구 정일우 Jung il-woo, My Friend› ‹예외상태 State of exception› ‹어떤 점거 The Occupation› Trackback Address :: http://www.lookdocu.com/trackback/598
|
||
<전장에서 나는>, <1들> 강정 상영 :: 2019/01/07 22:09저희 서울영상집단 2019년 첫 일정은 강정마을에서의 상영이었습니다. 이제는 강정마을로 이주한, 한때 동네친구였던 양상님의 초대로 강정마을에 다녀왔습니다. 공미연감독의 2007년작 장편다큐 <전장에서 나는>과 2018년말에 제작한 단편다큐 <1들>을 상영하고 왔습니다. 비자림로 훼손 및 영리병원 건설과 제2공항 건설에 맞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는 강정마을 친구들이었지만, 영화도 열심히 봐주고 많은 공감도 전해주었습니다. 초대해준 강정마을 친구들에게 깊은 감사의 말 남깁니다. 평화의 섬 제주와 강정마을에 평화가 깃들길 기원합니다. Trackback Address :: http://www.lookdocu.com/trackback/597
|
||